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해 드렸던 차트 분석 지표들 중 오늘은 EMA 그리고 MACD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는 SMA와 조금 다르게 특정 기간 동안의 수집된 데이터들 중 최근 주가 변화에 더 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EMA 그리고 SMA 두 지표 다 support (지지) 그리고 resistance (저항) Level을 보여주며 매입/매도 execute(집행)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위 사진과 같이 파란색 라인인 EMA가 좀더 주가 변화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여 움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이를 이용하여 좀더 발 빨리 매입을 할 수 있지만, 단점으로는 하향 추세 신호에 조금 더 취약성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이의 너무 빠른 방향 전환에 신호를 다르게 오역할 수 있습니다.
EMA 계산법은 이렇습니다.
여기서 Smoothing은 보편적으로 2가 쓰이며 이 Factor가 높을수록 더 최근 주가 변화에 중점을 둔다는 점입니다.
Value는 오늘 주가를 표시합니다.
EMA는 SMA와 마찬가지로 Golden Cross와 Death Cross 패턴을 사용하고 분석합니다.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혹은 이동 평균 수렴 확산)는 주가 상승세/하락세의 추진력을 보는 지표로 두 MA를 연관 지어 주가를 분석합니다. MACD에는 세가지 구성 요소로 나뉩니다.
- MACD Line
- MACD Signal Line
- MACD Histogram
MACD Line은 12EMA와 26 EMA의 차이점으로 0을 기준점으로 12 EMA가 26 EMA위에 있을 시 positive number를 (정수), 26 EMA가 12 EMA 위에 있을 시엔 negative number를 (양수) 보여줍니다. 쓰이는 방법으로는 이와 같이 주가 가격 변동을 지켜보며 MACD Line이 정수일 때 매입 시그널을, 양수일 때 매도 시그널을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MACD Signal Line은 MACD Line 값에 9 EMA를 구한 값이며 MACD Line의 트렌드를 봅니다.
초록색 MACD Line이 MACD Signal Line을 교차하여 위로 올라갈 때에 매입 시그널을 보이며, 반대로 아래로 교차할 시 매도 시그널을 띕니다. 여기서 MACD Histogram 은 바 차트로 많이 설명되며 0을 기준으로 위로 올라갈 시 MACD Line이 Signal Line을 교차하여 위로 올라감을 표현하며 차트의 바가 커지고 줄어듦은 트렌드가 바뀜을 표현합니다.
MACD를 어떻게 보던 상승/하락 추세의 꼭짓점은 놓치기 힘들지만 트렌드를 따라갈 수 있다는 점으로 이는 MACD를 보는 궁극적인 목표임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이로써 EMA와 MACD 두 지표를 짚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엔 남은 지표인 RSI에 대해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et Timing (RSI) (0) | 2020.08.03 |
---|---|
Nasdaq:Apple Inc. 4-for-1 Stock Split 무슨 뜻일까? (0) | 2020.08.03 |
Market Timing (SMA - Simple Moving Average) (0) | 2020.07.31 |
TSX:LSPD Stock Analysis (0) | 2020.07.18 |
TSX:LSPD Financial Statement 분석 (0) | 2020.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