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해 드렸던 차트 분석 지표들 중 마지막 지표인 RSI (Relative Strength Index 혹은 상대적 강도 지수)에 대해 적어 보려 합니다.
RSI는 주가 추진력의 척도를 재어보는 지표로 투자금의 현 시세와 지난 퍼포먼스를 비교하여 이의 강도를 확인합니다. RSI는 0부터 100의 수치로 표시되며 보편적으로 70 이상은 overbought (과 매수)을 의미하며 주가가 떨어질 때가 되었음을, 30 이하의 수치는 oversold (과 매도)를 의미하며 주가가 뛰어오를 때가 되었음을 알려줍니다.
SMA, EMA 그리고 MACD가 그렇듯, RSI도 타임 프레임이 필요합니다. 보편적으론 14-period 타임 프레임을 쓰며, 이는 시간, 일, 주 등의 시간대로 보편적으론 14-days로 쓰입니다. 이 타임 프레임이 줄어듦은 곧 RSI 수치가 올라감을, 타임 프레임이 늘어남은 RSI 수치가 내려감을 뜻합니다.
RSI 30과 70을 기준으로 30 아래로 내려갔을 시 과 매도가 표현되었습니다. 첫 번째 차트는 과 매도를 표현, 두 번째 차트는 과 매수를 표현합니다. 반대로 해석하자면 RSI 수치가 70 라인 밑으로 떨어질 시 sell signal (매도 시기)을 그리고 30 라인 위로 올라갈 시 buy signal (매수 시기)를 띕니다.
RSI와 MACD는 그럼 무슨 차이점이 있을까?
RSI와 MACD 둘 다 시장의 추진력, 즉 Momentum을 측정하지만 RSI는 매도/매수량을, MACD는 주가의 두 EMA 즉 두 개의 다른 time frame의 이동평균선 사이에서의 관계를 관찰하여 주가 상승세/하락세의 추진력을 측정합니다.
서로 다른 요소들을 측정하기 때문에 항상 일치하는 매도/매수 신호를 띄우진 않습니다. 때때로는 서로 상반되는 신호를 보내며 예를 들어, RSI는 70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과 매수 신호를 보낼 수 있지만, 동시에 MACD는 주가 상승세를 띄우며 시장이 여전히 매수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다고 나타낼 수 있고 이 흐름을 잘 읽어내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의 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세 개의 포스팅으로 마켓 타이밍을 잼에 있어 도움을 주는 총 네 가지 차트 지표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계산법들과 함께 추가 설명과 함께 적었지만 대부분의 증권 프로그램들 그리고 Yahoo Finance 같은 곳에서 클릭 몇 개만 으로도 아래와 같이 한눈에 이 지표들을 열어 볼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SMA, EMA, MACD 그리고 RSI를 이용하여 마켓 타이밍, 매수/매도 타이밍을 잴 수 있습니다.
이번 차트 지표들을 공부하고 리서치하며 정말 많은 도움이 됐음을 깨달았습니다.
다음번 포스팅엔 Risk Management (위험 관리), 그중에서도 ATR indicator (Average True Range indicator 혹은 변동성 지표)를 이용하여 Position Sizing (규모 정하기) 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하고 글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8월 3일 포트폴리오 결산 (0) | 2020.08.04 |
---|---|
Risk Management (ATR & Position Sizing) (2) | 2020.08.04 |
Nasdaq:Apple Inc. 4-for-1 Stock Split 무슨 뜻일까? (0) | 2020.08.03 |
Market Timing (EMA & MACD) (0) | 2020.08.02 |
Market Timing (SMA - Simple Moving Average) (0) | 2020.07.31 |